♡ 서평 및 보도자료 ♡
인문의 숲에서 발행한 『밥살(밥맛 살맛)』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5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선정작입니다.
우린 “맛”으로 세상을 산다.
그게 뭐냐? 그것은 바로 ‘밥맛과 살맛’이다. 하루 세끼의 밥이 얼마나 중요한가?
이 밥을 위해서 머리 터지게 공부하고, 일을 하고, 결혼을 하고, 행복한 삶의 가치와
살맛을 추구해 간다. 이처럼 “세상의 즐거움은 밥맛과 살맛이 그 중심”이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이 밥을 멀리하고 잘 먹으려하지 않는다.
이 책은 현대인들이 일상에서 먹는 밥맛이 어떤 의미이고, 그 의미가 갖는 중용의
인문정신과 생활사상이 어떤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지에 대한 관조와 성찰이다.
우리의 육신을 위한 것이 밥이라면, 우리의 영혼을 위한 것은 인문정신의 밥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행복한 삶의 지향과 구현이 가능하다. 이것을 저자는 중용의 학문적
이론을 통해서 쉽게 설명하고 있다.
현대문명시대는 모든 이즘(ism)에 가치가 거대 문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 중심(中心)
을 잃고 표류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인류가 지향하고 추구하는 삶의 참 가치들에
대한 ‘균형 잡기’를 통해서 잃어버린 우리의 중심과 행복을 되찾고, 우리사회의 중심
과 역량을 모아서 합리적 ‘균형과 조화’를 이룰 대안을 『밥살』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제 미래사회의 트렌드는 ‘변화 속에 균형과 조화’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독자들에
게 전하려는 중요 메시지의 키워드는 크게 3가지이다. 첫째는 미래사회의 균형과 조
화(Balance and harmony)에 대한 가치, 둘째는 새로운 행복(New happiness)의 가
치, 셋째는 변화의 가치(Value of change)이다.
미래사회는 어떠한 변화와 상황 속에서도 그 중심을 잃지 않고 합리적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렇게 하려면 그 중심가치가 현대인의 일상에서 실천적 행동으로 선
행되어야 함을 중용의 학문적 이론과 체계로 쉽게, 설득력 있게 짚어내고 있다.
현대인의 일상은 모두가 ‘관계와 관계 속에 이루어지는 현상과 작용의 결과’이다. 그
모든 결과와 행동의 중심(中心=중용적 사고)은 결국 존재하는 나로부터의 시작이다.
그것을 지탱하는 원동력은 “밥맛과 살맛”이다. 이런 인문정신의 완성이 ‘행복한 삶’을
실현케 하는 궁극에 가치가 된다는 함의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쾌한 어
조로 이 『밥살』에서 담고 있다.
* 이 책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밥살 (밥맛 살맛=世樂中飯生)
부제: ‘밥맛과 살맛’으로 이해하는 고전 인문학 레시피
* 차례 *
◼ 프롤로그
‘밥맛과 살맛’으로 이해하는 고전 인문학 레시피
‘중심의 이야기’ 중용(中庸)---5
◼ 중심(中心) 가치
공자의 사상과 중심가치(中心價値)의 이해---9
◼ 본 책의 구성과 특징
한권의 에세이처럼 술술 읽히는 중용이야기---16
제1부 밥맛이 최고다
1-1 밥맛과 살맛(飯味生味)---25
1-2 밥맛으로 이해하는 중용(中庸)의 인문정신---32
1-3 철학이 담긴 밥맛과 음식이야기---37
1-4 비빔밥은 최고의 하모니를 이루는 밥---46
1-5 맛(taste)과 멋(cool)에 이야기---55
제2부 인문정신의 밥
2-1 중용(中庸)은 현대인의 인문정신에 밥---63 ㅅ
2-2 중용(中庸)은 삶을 행복하게 하는 생활사상---76
2-3 유교(儒敎)와 중용(中庸)에 대한 종교적 이해---85
2-4 21세기의 트렌드는 균형과 조화의 가치---92
2-5 사람의 길과 문명창달의 길---105
2-6 중용(中庸), 존재적 가치의 일체성을 일깨우는 사상---114
제3부 중심(中心)의 이해와 법칙
3-1 중(中)의 이해---133
* 중(中)은 천도(天道)와 인도(人道)
3-2 중심(中心)의 개념적 이해---139
* 중심(中心)이란?
* 중심의 일반적 개념
* 마음의 이해
* 중심 보기
* 중심 찾기
3-3 중심(中心)의 작용과 원리---180
* 흐트러진 중심잡기
* ‘시소놀이’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 ‘팽이놀이’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 ‘자전거타기’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3-4 중심(中心)의 구체성---201
* 중심에 설 때 중심이 보인다.
* 중심점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다.
* 좌·우 균형은 상호 정체성의 인정과 존중
* 좌·우 균형은 시작과 끝의 영속성
* 좌·우 균형과 조화는 과학이며 철학
* 좌·우 균형점은 중심축 ‘0’의 자리
* 균형과 조화 속에 존재하는 우주법계와 대자연
* 최고 미학의 가치는 ‘균형과 조화’
* 합리적 인간관계의 회복은 '균형과 조화'
* 중심을 잡는 것은 의식의 균형 잡기
제4부 내가 중심에 서야 세상의 중심을 세운다
4-1 잃어버린 중심(中心) 찾기---251
* 나의 존재와 중심
* 가정공동체의 중심
* 사회공동체의 중심
4-2 불안정은 중심(中心)의 불균형과 부조화의 현상---283
제5부 중용(中庸) 원문과 요약
중용 제1장~제33장
'여산의 신간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살아가기-청소년 인성인문학 (0) | 2020.11.23 |
---|---|
이자견 저자견 (爾者見 狙者見)-정치, 경제, 사회, 문화로 읽는 『중용』 (0) | 2014.10.16 |
2014년 4월 18일 오후 01:05 (0) | 2014.04.18 |
2014년 4월 18일 오후 01:05 (0) | 2014.04.18 |
인문의 시소를 타고 놀아보자 (0) | 2014.04.18 |